대한치과 건강보험협회|장애인 치과 진료비, 감면 혜택 4가지 총정리



치과 문턱, 왜 이렇게 높게만 느껴질까요? 특히 몸이 불편한 장애가 있는 가족의 치과 진료를 생각하면 눈앞이 캄캄해지기 일쑤입니다. ‘비용이 많이 나오면 어떡하지?’, ‘제대로 된 진료를 받을 수는 있을까?’ 하는 걱정에 치료를 미루고 계셨나요? 그런 분들을 위해 대한치과 건강보험협회에서 알려주는 장애인 치과 진료비 감면 혜택을 총정리했습니다. 더 이상 막막해하지 마세요.

장애인 치과 진료비 지원 핵심 혜택 3줄 요약

  •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항목의 환자 본인부담금이 크게 줄어듭니다.
  • 임플란트, 틀니 등 비용 부담이 큰 비급여 항목 진료비 일부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행동 조절이 어려운 경우, 전신마취 치과 치료에도 건강보험 적용이 확대됩니다.

알아두면 힘이 되는 장애인 치과 진료비 감면 혜택 4가지

장애가 있다는 이유로 구강 건강을 포기해서는 안 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장애인의 치과 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복잡해 보이지만 몇 가지 핵심 내용만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대한치과의사협회와 같은 기관에서도 장애인 구강보건 향상을 위해 정책 개선을 꾸준히 요구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어떤 혜택들이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하나, 건강보험 급여 항목 본인부담금 대폭 인하

치과 진료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급여 항목’과 적용되지 않는 ‘비급여 항목’으로 나뉩니다. 장애인으로 등록된 경우, 이 급여 항목에 대한 본인부담금이 크게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충치 치료, 잇몸 치료, 신경치료, 사랑니 발치, 스케일링 등 기본적인 치료 비용 부담이 훨씬 가벼워집니다.



특히 뇌병변, 지적, 정신, 자폐성 장애인의 경우, 치과 처치 및 수술료에 대한 가산율이 대폭 상향 조정되었지만, 환자가 추가로 부담하는 비용은 없습니다. 즉, 치과 병원이나 의원은 장애인 진료에 대한 어려움을 수가 가산으로 보상받고, 환자는 본인부담금 증가 없이 진료받을 수 있어 의료 접근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진료비 영수증을 꼼꼼히 확인하고, 연말정산 시 의료비 세액 공제 혜택도 놓치지 마세요.

둘, 부담스러운 비급여 항목 진료비 지원

임플란트, 지르코니아 크라운, 틀니 등은 비용이 많이 드는 대표적인 비급여 항목입니다. 이 때문에 치료를 망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장애인을 위한 지원 정책을 활용하면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전국 15개 권역 장애인구강진료센터에서는 장애 유형과 소득 수준에 따라 비급여 진료비 총액의 10%에서 최대 50%까지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기초생활수급자인 장애인은 비급여 진료비의 50%를, 치과 영역 중증 장애인은 30%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각 지방자치단체 보건소에서도 자체적으로 중증장애인을 위한 틀니, 임플란트, 보철 치료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으니, 거주 지역의 보건소에 문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지원은 만 65세 이상 어르신에게 적용되는 임플란트, 틀니 보험 혜택과 별개로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길입니다.

지원 대상 비급여 진료비 지원율 (장애인구강진료센터 기준)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총액의 50% 지원
치과영역 중증 장애인 총액의 30% 지원
기타 장애인 총액의 10% 지원

셋, 전신마취 치과 치료 건강보험 적용 확대

치과 공포증이 있거나, 의사소통 및 행동 조절이 어려워 일반적인 치과 진료가 힘든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수면마취나 전신마취를 통한 치료가 필요한데, 이전에는 비용 부담이 매우 컸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뇌병변, 지적, 정신, 자폐성 장애인이 치과 진료 시 전신마취를 할 경우 건강보험 급여 적용이 확대되었습니다. 과거에는 일부 마취 비용이 비급여로 처리되어 수십만 원을 부담해야 했지만, 이제는 건강보험 적용으로 의료비 부담이 크게 줄었습니다. 이는 장애인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필요한 구강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치과 정책 변화입니다.



넷, 지역 보건소 및 장애인 전문 치과 병원 활용

어디서 진료를 받아야 할지 막막하다면, 가장 먼저 가까운 보건소를 찾아보세요. 대부분의 지역 보건소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구강보건센터를 운영하며 무료 구강검진, 불소도포, 스케일링(치석제거) 등 예방 치료와 구강보건교육을 제공합니다. 일부 보건소에서는 간단한 충치 치료나 치아 홈 메우기(실란트) 등을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으로 지원하기도 합니다.

보다 전문적인 치료나 수술이 필요하다면 국립중앙의료원이나 서울특별시 장애인치과병원, 각 권역별 장애인구강진료센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기관들은 장애인 진료에 특화된 시설과 인력을 갖추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앞서 설명한 비급여 진료비 지원 혜택을 직접 신청하고 받을 수 있는 곳입니다. 과잉진료에 대한 걱정 없이 꼭 필요한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진료비 확인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도 현명한 방법입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